WORK/Architecture

[펌] 주차장 램프 조면처리

photographer2js 2008. 11. 21. 13:55
LONG

 

ARTICLE

출처 : http://cafe.daum.net/208907/4889/2

─────────────────────────────────────────────

주차장램프 조면처리 건축시공

* 어느 건물이든 지하 주차장으로 진입하면 램프의 마감을 접하게 된다..

램프의 경사진 면을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조면처리를 한다.

램프의 조면 처리 마감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램프의 조면처리로서 비나 눈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이 중요시되지만

내부에 외기의 영향을 덜 받아 미끄럼 방지 기능과 더불어 미관을 고려해야한다.

오래된 건물들의 조면 처리는 철근으로 요철을 내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기도 했지만

이는 시공이 간편하고 비요이 저렴했기 때문일 것이다.

콘크리트 타설후 폭은 약 10~15mm, 깊이는 10mm, 간격은 100mm정도로 커팅기로

조면을 만드는 방법과 최근의 경우 고무링을 사용하여 무늬를 만들고 그 위에 에폭시

레진 몰탈과 같은 별도 마감으로 시공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또는 외부에 노출된 부위에 가격이 비싼 혹두기 마감의 석재로 처리하기도 한다.

가급적 조면 처리의 색깔은 흰색을 피하는게 좋을 듯 하다.

타이어의 마모 자국이 남는 경우 지저분해 보인다.

간혹 석재 타일이나 칼라 크리트, 그리고 드물게는 아스팔트로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

단 고무링을 이용한 조면처리시 주의해야할 점은 램프가 일자형이 아닌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오와 열을 �추어 무늬를 만들기가 쉽지가 않다.

고무링 사용시 주의 할 점은 공사 중간에 빼서 다른 층으로 사용을 자제하여햐 한다.

그럴경우 모서리가 깨지거나 먼지나 쓰레기가 홈을 메워 이를 청소하는 비용도 간과해서는

않된다.

대개의 현장에 램프의 조면처리가 조잡해지고 정밀 시공이 되지 않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물때를 제대로 맞추지 못해 발생을 한다.

직선 줄눈형태로 시공할때 절차를 간단이 기술하면

1>줄눈 부분의 벽체에 멈 표시

2>줄눈을 찍을 파이프 준비와 나무 망치 준비

3>토막 파이프를 붙인 쇠흙손으로 다듬기

4>조면처리의 숙련된 시공자 선발

 

설계도서에 보면 램프의 조면처리에 대한 시방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앞으로 설계 도서에도 램프의 조면처리 지침이 표시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또한 설계도서에 비요이 저렴하면서 먼지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감자재에

대하여도 충분한 검토와 반영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시공순서

 

1. 평탄작업 완료 후 고무 Ring(지름120mm)을 센터 간격 300mm으로 표면에 삽입 한다.
   (이때, 고무 Ring 상부면과 콘크리트 표면을 평행 일치시킨다.)
2. 표면에 Ring 시공 후 나무흙손으로 1차 마감한다.
3. 표면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량의 수분이 건조되는 상태에서 1차 TROWELLING 작업을 실시한다.
4. 2차 TROWELLING 작업 후 쇠흙손으로 마감한다.
5. 24시간 경과 후 콘크리트의 손상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Ring을 제거한다. (온도에 따라 탈형시

   간은 변동가능)


 

시공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