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KHNP

[스크랩] 지경부, 신울진 원전 1,2호기 실시계획 승인

photographer2js 2009. 4. 3. 08:17
뉴스: 지경부, 신울진 원전 1,2호기 실시계획 승인
출처: 연합뉴스 보도자료 2009.04.03 08:16
출처 : 보도자료
글쓴이 : 연합뉴스 보도자료 원글보기
메모 :

지경부, 신울진 원전 1,2호기 실시계획 승인

연합뉴스 보도자료 | 입력 2009.04.03 08:01

신울진 원전 1·2호기, 純 우리기술로 건설 추진

지식경제부한국수력원자력가 승인 신청한 '신울진 원자력발전소 1,2호기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에 대해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위원장: 지식경제부 차관)의 심의(3.25)를 거쳐 최종 승인·고시(4.3)하였다.

*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전원개발촉진법 제4조)

위원장(지경부 차관) 및 당연직 위원(기재부, 교과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 국장급)10명으로 구성

신울진 원전 1,2호기는 우리나라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형경수로APR1400으로, 2007년 착공한 신고리 원전 3,4호기에 이어 두 번째로 건설되는 것이다.

* APR1400(Advanced Power Reactor, 1400MW): 기존 울진 5,6호기 등에 적용된 OPR1000(1000MW)에 비해 안전성(10배) 및 경제성(약15%)을 개선하여 개발한 신형 원전

현재, 신고리 원전 3·4호기는 APR1400의 일부 핵심기자재(RCP, MMIS)를 외국기술에 의존하여 건설하고 있으나*, 그 동안 정부 주도의 지속적인 기술개발 결과, 금번 실시계획 승인으로 건설되는 신울진 1·2호기에 100% 국산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크게 주목되고 있다.

* RCP: Reactor Coolant Pump, 원자로냉각재펌프

* MMIS: Man Machine Interface System, 원전계측제어시스템

한수원은 금년 5월말에 있을 주기기 계약 시까지 기술적인 검토를 거쳐 RCP, MMIS의 국산화 적용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안전성과 경제성이 입증되는 경우 신울진 1,2호기는 명실상부한 순수 우리기술로 건설하는 최초의 원전이 된다.

신울진 원전 1,2호기는 경북 울진군 북면 덕천리 일원에 금년부터 7년간 총 6조2,981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16년에 준공될 예정으로 신울진 2호기가 준공되는 2016년에는 총 28기의 원전이 우리나라 총 발전량의 40.1%에 해당하는 연간 211,448GWh의 전력을 생산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기여할 예정이며, 석탄 대비 약2억7백만톤의 CO2 배출 저감 효과도 기대된다.

* '16년 총 발전량: 527,154GWh, 원자력발전량: 211,448GWh(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한편, 동 원전 건설은 공사기간 7년('09.8∼'16.12) 동안 발전소 건설에 연인원 약620만명*이 투입될 예정으로 침체된 건설시장에 활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100만kW급 신고리 1,2호기 및 울진 5,6호기 시공시 투입인력: 연인원 약513만명

신울진 1·2호기는 설비용량(140만kW) 증가에 따른 인력투입 20% 증가 추정

또한, 원전 건설 및 운영기간 동안「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법률」에 의한 특별지원사업비 약 1,245억원, 기본지원사업 약3,680억원, 사업자지원사업 약3,680억원과 「지방세법」에 따른 지역개발세 약6,600억원 등 총 1조8,685억원이 지역사회에 지원되어 지역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해 값싸고 CO2 발생이 거의 없는 원자력발전이 저탄소 녹색성장의 현실적 대안으로 주목함에 따라 원전 르네상스의 도래가 예상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저탄소 녹색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이미 '08년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원자력발전 비중 확대('30년까지 발전설비 41%)를 반영하고 '22년까지 12기의 원전건설을 추진한다.

정부와 한수원은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을 위한 원자력 분야의 첫 번째 과제인 신울진 원전 1,2호기의 철저한 사업 관리를 통해 '원자력=녹색 에너지'임을 입증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끝)
출처 : 지식경제부

본 콘텐츠는 해당기관의 홍보자료임을 밝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