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건강

[펌] 간호사가 알려주는 질환별 간호-심장질환

photographer2js 2008. 1. 30. 13:59

 

협심증
 

 

| 종류 | 증상 | 진단방법 | 치료 |

 

어느 협심증 환자의 경우

내가(남자 56세) 협심증을 진단 받은 것은 회사를 정년 퇴직하고 서너 달이 지나서였습니다.
평소에는 혈압이 약간 높았으나 건강에는 자신이 있다고 자부심을 가지고 지냈습니다
.
하루에 한갑 정도의 담배를 피웠고 때로는 친구들이랑 어울려 술을 많이 마실 때도 있었습니다.
일에서 해방되면서 아침마다 등산을 하기로 작정을 하고 아침 일찍 길을 서둘렀습니다.
다소 차가운 날씨였습니다. 10여년만에 오르는 산행이라 다소 설레는 마음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산을 오르는 중에 갑자기 가슴이 뻐근하게 아프고 숨이 차올라 걸을 수 조차 없었습니다.
처음 느껴보는 증상이었습니다
.
잠시 주저 물러 앉아 있으려니까 가슴의 통증은 씻은 듯이 사라졌습니다. 어느 정도 쉬었다가 산행을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호흡곤란을 느꼈으나 쉬엄쉬엄 등산을 마쳤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괜찮겠지 하고 생각했습니다
.
헌데 다음날 아침 산행길에도 똑같은 증상이 생겼습니다.
이번에는 어제보다 조금 더 심하다 싶은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다가 가만히 앉아 안정을 취한 후에 통증이 사라졌습니다. 그 후 특히 무거운 짐을 옮기거나 바쁘게 걸으면 어김없이 통증이 나타났습니다.

며칠 후에 병원을 찾아서 협심증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혈중의 콜레스테롤도 높다고 하였습니다.
다음 날 곧 바로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았습니다
.
관상동맥 중의 하나가 90%이상 심하게 막힌 것을 나 스스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조영술과 동시에 막힌 부분을 풍선으로 확장시키고 그물망 시술까지 받았습니다.

현재 6개월이 지나면서까지 증상의 재발은 없으며, 혈압약 및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 아스피린을 하루에 한번씩 복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시술 후 담배도 끊었습니다.

 

 

협심증의 종류

글머리 기호

안정형 협심증

안정 시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일정량의 육체적 활동 즉 빨리 걷거나 계단을 올라갈 경우 흉통이 유발되었다가 안정을 취하면 곧 통증이 소실됩니다. 통증의 시간은 2-3분을 넘지 않습니다.

글머리 기호

불안정형 협심증

혈관을 막고 있는 죽상반이 파열하면서 혈관 내에 혈전이 형성되어 운동 등의 심장의 부담없이도 관상동맥이 잠시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운동에 관계없이 안정 시 흉통이 발생하며 작은 운동량에도 협심흉통이 발생합니다.

글머리 기호

변이형 협심증

협심 흉통이 안정 시에만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통증은 밤에 자다가 새벽녘 혹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자주 나타나며, 낮에 일을 하거나 심한 운동을 해도 통증 유발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일련의 비전형적인 협심형태를 “변이형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원인은 관상동맥이 심한 혈관경련을 일으키기 때문으로 흡연경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정확히 진단하면 약물치료에 반응이 좋은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증     상

 
  • 흉통

협심증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가슴을 짓누르는 것 같다”, “터질 것 같다”, “고추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다 등으로 표현합니다.
주로 운동
(산행,
계단오르기, 도보 등)중에 나타나며 안정하면 소실됩니다.

  • 2-3분정도 지속되며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투여 시에 1-2분안에 소실됩니다. 만일 30분 이상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 , 팔로 퍼지는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숨이 차다거나, 체한 것처럼 소화가 잘 안되고 토할 것 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진단방법 (검사)

 
글머리 기호

심전도

심장의 근육들은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이고 있으며, 심전도 검사란 이러한 신호를 몸밖에서 읽어 심장의 이상여부를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심장근육 중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 부위는 전기적인 흐름에 이상이 생기며 그러한 변화를 찍어냄으로써 협심증을 진단하게 됩니다. 심전도는 많은 환자들에게서 초기에 정상이나 흉통발생 시에는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글머리 기호

홀터검사

은 심전도 기계를 몸에 부착하고 24시간동안 심전도를 찍어보는 방법이나 흉통이 없는 평상시에는 협심증을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관상동맥의 수축으로 생기는 변이형 협심증이나 무증상 심근 허혈에는 유용한 진단방법으로 사용됩니다.

글머리 기호

운동부하검사

심전도 검사의 한 방법이라 할 수 있고 운동을 통해서 협심증을 유발하고 심전도를 찍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자전거나 답차기 등 특별히 고안된 기계를 통하여 운동량을 증가시키면서 흉통을 유발시키고 심전도를 관찰하는 방법으로써 협심증이 중증이면 대부분 양성을 보입니다
.

글머리 기호

심장초음파 검사

초음파를 이용하여 신체의 내부구조를 관찰하고자 시행하는 검사로 심장의 구조 및 기능상의 이상이나, 피가 흘러들고 나가는 모습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혈액공급이 모자란 부위에 심장근육의 운동성이 떨어져 있는 것을 관찰하여 진단합니다.

   
글머리 기호

핵의학검사

특정한 방사선 동위원소(Thallium)을 정맥주사한 후 이것이 심장의 근육에 흡수되는 것을 촬영하므로써 심장근육의 생존여부를 판단하는 검사입니다. 심장에 방사선물질의 흡수가 적은 부위는 혈액공급의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검사는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90%의 협심증 환자에서 양성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글머리 기호

심혈관 관동맥 조영술 

'카테터'라고 불리는 가느다란 관을 사타구니의 혈관(대퇴동맥)을 통해 심장까지 밀어 넣고 직접 심장의 관상동맥을 찾아 조영제를 주입하여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관상동맥의 이상여부를 찾아내는 검사입니다. 이는 관상동맥의 좁아진 부위와 좁아진 정도를 알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써 그 결과로써 이후 치료 방법을 판단하게 됩니다. 그러나 출혈성 질환이나 소인이 있는 환자, 조절되지 않는 심한 고혈압, 고혈, 심한 빈혈 및 조영제 과민환자 등에서는 금기로 되어 있습니다.

 

 

치     료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에 의해서 혈관이 좁아져서 오는 병이므로 약물을 투여해서 심장의 일을 덜어주고 산소의 요구량을 감소시키거나, 직접적으로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 시술 또는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약물요법

1) 니트로글리세린 제제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좁아진 관상 동맥 뿐만 아니라 주변의 정상 혈관도 늘려 주기 때문에 심장 근육에 피가 많이 가도록 해준다. 심장 근육의 긴장과 산소 요구량도 줄여줍니다.
협심 흉통 발작 시에 응급으로 사용되는 설하정
,
연고 및 부착제와 뿌리는 니트로 글리세린 제제(spray), 등의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제제와 일상 복용하는 서방정(흡수 및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제제)이 있습니다. 협심 흉통 발작 시에 니트로 글리세린 제제의 효과는 수십초에서 수분 내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며, 5분 이내에 통증이 완화되지 않으면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협심통증이 예상되는 경우 예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에 관하여  ◈◈

▶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

  • 활동 시 생긴 협심증의 증상이 수분간의 휴식으로 사라지지 않을 때

  • 활동하지 않고 휴식 중에 협심증 증상이 생긴 경우

  • 평소 협심증이 생기는 정도의 활동을 꼭 해야 할 경우, 예방적으로

▶ 사용 방법 및 효과에 관하여

  • 편안하게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사용한다.

  • 혀 밑에 넣고 천천히 녹인다.

  • 투여 후 45초-5분 이내에 효과가 나타난다.

  • 5분이 지나도 효과가 없으면 5분 간격으로 3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 3번 투여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가야 한다.

  • 처음 사용할 때에는 약간의 두통이나 어지러운 증상이 생길 수 있다.

  • 습관성이나 중독성이 없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

  • 사용 횟수가 증가되거나, 사용 후에도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으면 가능한 빨리 주치의의 진료를 받도록 한다.

▶ 휴대 및 보관 방법

  • 항상 휴대하고 다니시고,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서 주위사람에게 약의 위치와 사용방법에 대해 미 리 알려 둔다.

  • , , 습기 및 공기에 노출되면 약효가 떨어지므로 주의한다.

  • 6개월 이상 지난 약은 효과가 없으니 새로 처방을 받는다.

  • 혀 밑에 넣었을 때 톡 쏘거나 화끈한 맛이 있어야 신선한 약이다.

2) 칼슘차단제

관상동맥 확장 작용과 혈관 확장 작용을 갖는다. 심장 근육의 수축 작용도 억제하므로 효과를 나타냅니다. 부작용으로 안면홍조, 혈압저하, 빈맥, 전도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베타 차단제

심장박동수, 혈압,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줄여 주므로 심장의 산소 요구량이 줄어서 심장의 부담이 적어집니다. 특히 혈압강하 효과가 뛰어나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유용합니다. 부작용으로 심장수축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심부전이 생길 수 있으며, 서맥, 전도장애, 혈압저하, 기관지 천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항혈소판제제 및 항응고제

불안정형 협심증의 경우는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죽상반이 파열되면서 혈소판이 응집하여 혈전(피떡)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피떡에 의해서 혈류가 방해 받아 안정 시에도 협심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불안정형 협심증의 경우 제일 중요한 치료는 헤파린이라고 하는 항응고제를 적극적으로 투여하여 이미 생긴 피떡을 녹이고 더 이상의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아스피린의 경우는 항혈소판 효과를 갖는 중요한 약물로써 협심통증 자체를 완화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불안정형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등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입니다
.
용량은 하루에 80mg에서 325mg까지로 한번만 투여하면 충분합니다.

2. 관상동맥 풍선확장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다리부위의 동맥혈관(대퇴동맥)을 통해서 가는 대롱(관)과 풍선을 이용하여 좁아져 있는 혈관을 물리적으로 열어주는 방법입니다. 다리부위 혈관에 국소마취를 충분히 하고 굵은 바늘을 이용하여 시술하기 때문에 큰 통증이나 불편없이 시술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풍선확장 성형술은 관상동맥이 50%이상 좁아져 있고 혈류의 75%이상이 감소되어 있으며 심근허혈의 증거가 동반된 경우(위에서 소개한 검사상 협심증 소견이 있는 경우) 시행합니다.
치료효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풍선을 이용하여 넓혀준 혈관이 다시 좁아지는 부작용이
3-4개월 사이에 35-45%의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

 
  PTCA전   PTCA후

3. 그물망 시술

위의 풍선확장 성형술에서 나타나는 재협착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치료방법으로 튜브형태의 그물망을 좁아진 혈관을 넓힌 후 삽입해 두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약 15%의 환자만이 재협착이 발생하고 있으며 코일형의 그물망 등 여러 형태의 그물망들이 개발되어 지고 있습니다.
그물망의 선택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심장내과 전문의에 의해서 선택되어 집니다.

4. 죽상반 절제술

작은 다이아몬드를 이용하여 딱딱하게 굳어 있는 죽상반을 작게 갈아서 없애 버리는 방법으로 기존의 풍선확장술로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도 수술없이 시술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풍선확장술보다 재협착율이 줄어든 것은 아닙니다.

5.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대부분이 병이 심한 경우에 받게 되는데, 관상동맥의 심하게 막힌 부위를 우회해서 다리 부위의 복제 정맥 및 흉부의 내유 동맥 등을 이용하여 좁아진 관상동맥의 아래쪽으로 혈관을 붙여주는 외과적인 치료 시술입니다.
이 역시 숙련된 외과의에 의해서 수술되어지는 경우
2% 이하의 사망률을 갖는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종류 | 증상 | 진단방법 | 치료 |

 

출처 : http://koreacna.or.kr/homecare/06_diseasecare/heart/04.heart-angina.htm

간호사가 알려주는 질환별 간호-심장질환.mht
0.59MB